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os개발관련 사이트 링크

 

OSRC(OS Resource Center)- http://www.nondot.org/sabre/os/articles
: Boot Process부터 파일포맷, 디바이스 드라이버등 OS제작에 필수적인 자
원들과 자료들이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카테고리로 나누어 일목요연하게 정
리된 리소스 센터입니다.

 

OS Developer site - http://www.osdev.org/
: OS제작자를 위한 디벨로퍼 사이트로 각종 포럼, 강좌, 소스코드등이 링크
된 유용한 사이트입니다.


The Triple Fault Club - http://www.execpc.com/~geezer/os/
: 보호모드 및 OS제작에 관련된 메뉴얼 및 가이드, 그리고 공개 커널소스
등이 관련된 링크가 집대성된 사이트입니다.. 대부분의 공개 운영체
제 커널 소스등은 이곳에서 모두 찾을 수 있습니다... 강추~!!


SIGOPS - http://www.acm.uiuc.edu/sigops/roll_your_own/
: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OS를 제작하기 위한 단계적인 강좌와 예제들을 소개
한 포럼입니다..저는 boot strap을 작성하는 루틴에 관해서 처음 이곳에
서 배웠죠..
처음시작하시는 분들과 초보자들에게 좋은 사이트더군요..


John Fine's home page - http://www.execpc.com/~geezer/johnfine/index.htm
: OS를 제작하기 위해선 막바로 하드드라이브에 설치하는 코드를 만들
기 보다는 먼저 Floppy로 부팅할 수 있도록 부트코드를 작성하고 플로피에
서 OS이미지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.
이때 꼭 필요한 것이 플로피 디스크 섹터에 자신이 원하는 바이너리 이미지
를 기록하는 툴이죠.. OS를 제작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쓰는 툴이 John
Fine가 만든 partcopy라는 툴입니다.
John Fine의 홈피에 들어가시면 partcopy뿐만 아니라 보호모드, 시스템
유틸리티, nasm등 시스템 관련 자료와 툴들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.

 

OS제작을 위한 FAQ사이트 - http://www.mega-tokyo.com/os/os-faq.html
: 역시 처음 OS를 제작하기 위해 어떠한 사항을 고려하고 무엇을 시작해
야할지등을 FAQ형태로 설명해주는 사이트입니다.


K-OS Developer Site - http://members.tripod.lycos.co.kr/kos/main.htm
: 한 3, 4년전인가요.. 하이텔 프로그래밍 동호회에 순수 어셈블리로만 작
성된 K-OS라는 아주 작은 크기의 운영체제가 강좌와 함께 소스코드가 올
라 온적이 있었습니다.. 솔직히 워낙 작은 크기의 프로그램이라 부팅하는
것 빼고는 별반 기능이 없는 dummy수준의 OS였지만 보호모드를 이용하여
태스크 스위칭을 하는등 당시로서는 자료 구하기조차 힘든 로우 레벨 프로
그래밍의 기법등이 쓰여져 신선한 자극이 되었던 것이 생각나네요..
이 한국형(?) OS를 좀더 발전적으로 개발하고자 사람들이 모여 홈페이지
를 만들었더군요.


Bellona2 Community - http://www.freechal.com/bellona2
: OS제작에 관해서는 거의 전무이다시피한 국내출판시장에 처음으로 32비
트 보호모드를 이용한 OS제작에 관한 책이 나왔더랬습니다. 바로 "OS제작
의 정석"이라는 책이지요..
공룡서적이라 불리는 Silberschatz의 "Operating System Concepts"가 이
론서로서는 독보적인 서적이라면 Tananbaum의 "Operating Systems:
Design and Implementation"은 실제 구현을 설명한 책으로서는 최고
의 책이라고 생각합니다.
물런 그런 세계 최고의 양서들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, 그나마 우리나라에
OS제작에 관한 서적이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죠.
아쉬운 것은 구현기법을 설명하곤 있지만, 저자가 bellona2 커널은 비공
개로 해놔서 이미지 파일은 구할 수 있으되 소스를 볼 수 없다는게 아쉬
운 점이군요.. --;;;

그외 XINU, MMURL등 자체로 훌륭한 OS커널이 공개된 사이트와 포럼들이 무지 무지~~ 많지만, 위의 OS리소스 센터와 OS제작자 사이트에 가면 Link에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따로 여기서 소개하진 않겠습니다..
comp.os.minix나 comp.os.linux등의 뉴스 그룹에 가셔도 좋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것입니다.

아참~.. 아래에 미처 쓰지 못했는데 OS를 제작하다보면 하드웨어 제어 코드나 파일 시스템을 다루는 루틴등은 공개된 코드들을 참고하는 것이 훨 수월할 때가 있습니다.
이때 "http://sourceforge.net/"나 "http://www.gnu.org/software/software.html" 와 같은 공개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와 패키지등을 모아놓은 사이트에서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되죠..
그리고 OS제작에 필수적인 파일포맷에 관해서는 http://www.wotsit.org/에 거의 모든 파일포맷에 관한 자료가 정리되어 있습니다.
아마 여기계신 대부분의 님들이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, 그리고 참고하시라 말씀드립니당~..


OS제작에 관한 링크를 계속 해서 올릴테니 참고하세요.

Linux의 커널에 관한 정보가 많이 있습니다.
http://www.kernelkorea.org/

Lilo의 부팅 과정에 관한 설명이 Assembly와 함께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.
http://user.chollian.net/~lase/

OS 제작 사이트 입니다.
http://www.poweratomic.de/
http://www.menuetos.org/
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www.asmlove.co.kr 에서 퍼왔습니다.